티스토리 뷰
인덕터(inductor)
자기장에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교류의 흐름을 저항하는 전기 소자
인덕터의 작용 인덕턴스(inductance)
일정 길이의 전선, 혹은 한 쌍의 전선을 인덕터로 사용
코일 내부의 자속 밀도는 코일 내에 강자성체 코어(ferromagnetic core)를 위치시키면 곱절로 증가
인덕터가 감당할 수 있는 전류는 전선의 직경(표준 규격)에 의존
L 값은 코일의 전선을 감은 회전수, 코일의 직경, 그리고 코일의 전체적인 모양(코일의 길이)에 의존하는 함수
인덕턴스의 단위
배터리를 인덕터 양단에 연결하면, 전류는 인덕턴스에 의존하는 어떤 비율로 상승
인덕턴스가 클수록 주어진 배터리 전압에 대한 전류의 상승률은 늦어짐
인덕턴스의 단위는‘인덕터 양단 간 전압’과 ‘전류 상승률’ 간의 비율로 표현
1헨리(1H)의 인덕턴스는 인덕터의 전류가 단위 초당 1암페어(1A/s)비율로 변화할 때, 인덕터의 양단 간 전위차가 1볼트(1V)인 것을 나타냄
직렬 연결된 인덕터
인덕터 주위의 자기장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지 않을 때, 직렬 연결된 인덕턴스는 직렬 연결된 저항처럼 값을 더해주면 됨
전체 총합은 각각의 값을 더한 값
그 값들을 서로 더할 때, 모든 인덕터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의 단위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원하는 다른 인덕턴스의 단위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
병렬 연결된 인덕터
둘 혹은 그 이상의 인덕터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호 인덕턴스가 없다고 하면, 병렬 연결된 저항의 값처럼 그 값을 더함
인덕턴스 L1, L2, L3, …, Ln이 모두 병렬로 연결되었다고 하면
1/L = 1/L1+ 1/L2+ 1/L3+ … + 1/Ln
총 인덕턴스 L은 방금 구한 1 /L의 역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음